반응형
반응형
지난 포스팅 마지막 부분에서 언급한대로 앞선 과정으로 얻어낸 값들과 Make를 이용하여 인스타 피드 업로드까지의 계획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사실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 학식 메뉴 이미지를 로컬에 저장 및 드롭박스에 업로드 후, 이미지 링크를 불러와서 인스타 업로드 (반자동)
- Make로 이미지 URL을 드롭박스에 바로 저장 후, 바로 이미지 링크 불러와서 인스타 업로드 (자동)
두 가지 방법이 떠올랐습니다.
그런데 위 두 가지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진행해보려 합니다.
학교 공식 사이트는 정적인 웹 사이트였는데,
학식 메뉴 이미지를 올려주던 문서뷰어 HTML 주소는 JavaScript를 활용한 동적인 웹사이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서뷰어를 브라우저로 직접 들어가 개발자 메뉴로 HTML 코드를 살펴보면 이미지의 주소가 나타나지만
Make로 문서뷰어의 HTML을 불러오면 이미지의 주소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앞선 과정에서 정적인 웹 사이트의 크롤링을 진행했지만,
아직 동적인 웹 사이트의 크롤링에 대해 배워본 적이 없기에 경험을 쌓고 싶어서
이후부터는 구글 시트로 얻어낸 문서뷰어 링크와 Apify를 활용하여 동적인 웹 사이트 크롤링을 진행하고,
그렇게 얻어낸 이미지 주소로 인스타 업로드까지 진행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부터는 [ 동적 웹사이트 크롤링 및 인스타 업로드 ] 카테고리에 업로드 될 예정입니다.
반응형
'Make.com Instagram 연동 > 정적 웹사이트 크롤링 및 구글시트 저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ke.com 크롤링 및 구글시트 저장 (0) | 2025.04.30 |
---|---|
Make.com 정적 웹사이트 크롤링 (1) | 2025.04.29 |